관리 메뉴

파이티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액티비티 생명주기 본문

Android/Android Studio 기능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액티비티 생명주기

파이티스 2023. 8. 31. 15:28
반응형

 

1. 라이프 사이클이란?

안드로이드 앱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Activity라는 구성 요소를 사용한다. Activity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며, 앱의 다양한 상태 변화에 따라 라이프 사이클을 거친다. 이 라이프 사이클은 다음과 같은 주요 메서드들로 구성된다.

  • onCreate(): Activity가 처음 생성될 때 호출 됨.
  • onStart(): Activity가 사용자에게 보여지기 시작할 때 호출 됨.
  • onResume(): Activity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시작할 때 호출 됨.
  • onPause(): 다른 Activity가 화면을 가리거나, Activity가 더 이상 포커스를 받지 않을 때 호출 됨.
  • onStop(): Activity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 호출됩니다.
  • onDestroy(): Activity가 소멸되기 전에 호출 됨.
반응형

 

2.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 활용하기

각각의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는 특정한 상황에 실행되며, 앱의 상태 변화를 적절하게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onCreate() 메서드는 초기 설정 및 데이터 로딩에 사용되며, onResume() 메서드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다루는 데 유용하다.

 

또한,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들은 서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하나의 메서드가 실행될 때 다음 메서드가 어떻게 호출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서 onPause()가 호출되면 나중에 액티비티가 다시 포그라운드로 올라올 때 onResume()이 호출된다.

 

3. 상태 저장과 복원

안드로이드 앱은 시스템의 리소스 관리를 위해 백그라운드로 이동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앱을 나가고 나중에 다시 돌아올때 앱은 이전 상태를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onSaveInstanceState() 와 onRestoreInstanceState() 메서드를 활용할 수 있다.

 

onSaveInstanceState()는 앱이 일시 중단될 때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역활을 한다. 이후 앱이 다시 실행될때 onRestoreInstanceState()가 호출되어 이전에 저장한 상태를 복원한다.

 

4. 라이프 사이클 관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ViewModel을 사용하여 UI와 관련된 데이터를 화면 회전 등의 상태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LiveDate , ViewModel을 사용하면 ㅇ앱의 데이터 관리가 더욱 편리해진다.

 

글을 마치며

Android Studio App를 개발할때 Activity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각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의 역활과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앱이 예상치 못한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앱을 개발 할 수 있다.

 

반응형